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<경제를 부탁해> 시작하겠습니다. <br> <br>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 나와 있습니다. <br> <br>1.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원전 규제 완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고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자국의 원전 규제가 산업의 성장을 제약했다고 보고 규제를 완화하기로 한 건데요.<br> <br>AI 보급 확대로 대량의 전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에 대한 중요성이 커졌다는 점도 원전 규제 완화의 이유입니다. <br> <br>트럼프 대통령이 서명한 원전 관련 행정서명은 모두 4건인데요. <br><br>원자력규제위원회 개혁과 원자력에너지 연구 개혁, 그리고 원전 건립 추진, 미국 내 우라늄 채굴과 농축 확대입니다.<br> <br>이와 함께 원자력발전소의 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4배 늘린다는 목표도 함께 제시했는데요. <br> <br>미국이 '원전 르네상스'를 본격화한 겁니다. <br> <br>2. 사실상 미국은 30년 넘게 탈 원전 상태 아닌가요? <br><br>원전 건설의 원조격 국가였지만 최근에는 그 명맥이 끊겼던 게 사실입니다. <br> <br>1954년 시핑포트 원전을 시작으로 총 133기가 지어졌는데요. <br> <br>하지만 1979년 스리마일섬 원전 사고 이후에는 단 2기만 지어졌습니다. <br> <br>그래도 그 이전에 원전을 많이 지어서 미국은 지금도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97기가와트 규모의 원전 94기를 운영 중인데요. <br> <br>하지만 원전사업 확대로 이어지지 못하면서 미국 내 전력량 가운데 원전이 차지하는 비중은 17.8%까지 줄었습니다. <br> <br>3. 그 동안 원전이 지어지지 않았는데 트럼프 계획대로 25년 내에 원전 용량 4배로 늘릴 수 있는 건가요? <br><br>이론상으론 실현 가능합니다. <br> <br>1기가와트급 대형 원전 기준으로 300개를 더 지으면 되는데요. <br> <br>과거인 1950~1970년대에도 133기를 상업운전하는 데까지 걸린 시간이 25년이었습니다. <br><br>이 때문에 이론상으로 가능하지 않겠냐는 겁니다. <br> <br>4. 하지만 경제성 측면에서 부정적인 의견도 있다고요? 어떤 이유에섭니까? <br><br>높은 발전단가 때문인데요. <br> <br>원전의 경우, 1메가와트시의 전기를 만드는 데 190~284달러나 듭니다. <br> <br>하지만 경제성을 확보한 태양광은 29~60달러 육상풍력은 27~54달러입니다. <br> <br>원전과 비교하면 6분의 1 수준인데요.<br> <br>석탄화력발전(92~210달러)이나 천연가스 화력발전(45~228달러)도 원전보다 저렴한 에너지원이 됐습니다. <br> <br>또 미국은 한국과 달리 민간 주도로 이뤄지는 만큼 경제성이 떨어지면 기업 참여가 저조할 수밖에 없는데요. <br> <br>이 때문에 실현 가능성이 떨어진단 얘기가 나옵니다. <br> <br>5. 그런데 미국이 원전 산업을 키우면 한국 기업의 참여 기회가 늘어날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고요? <br><br>네, 미국 원전 기업과의 협력이 확대될 것이란 전망인데요. <br> <br>미국에는 웨스팅하우스란 대형 원전 기업과 소형모듈원전인 SMR 기업이 있기는 합니다. <br> <br>하지만 30년 동안 원전 신규건설이 없다시피 한 탓에 공급망이 약해졌는데요. <br> <br>이에 국내 증권업계에선 미국이 원전 산업을 키우면 한국 기자재 공급망과의 협력은 필수로 보고 있습니다. <br> <br>또 이미 현대건설 등 한국 기업은 웨스팅하우스와 유럽 사업에서 손을 잡았고, 두산에너빌리티와 공기업인 한국수력원자력은 미국 SMR과 협력하고 있단 점도 긍정적입니다. <br> <br>6. 정작 국내에서는 원전 산업 지원 방안이 지연되고 있는데다 폐기될 우려도 있다고요? <br><br>네 그렇습니다. <br> <br>당초에는 정부가 지난해에 '2050 중장기 원전 로드맵'을 발표할 계획이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윤석열 전 대통령의 계엄과 이에 따른 탄핵으로 로드맵 확정 발표가 순연됐는데요. <br> <br>더불어민주당 측의 반대도 계속되면서 대형 원전도 3기에서 2기로 축소됐습니다. <br> <br>이런 가운데 로드맵 자체가 폐기될 가능성도 제기되는데요. <br> <br>대선 이후 원전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경제산업부 신선미 차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<br />신선미 기자 new@ichannela.com